현대차 주식을 검색했을 때 현대차와 현대차우, 현대차2우B가 나오는 걸 보신 적 있으시죠. 아마 현대차 외에도 종목명 뒤에 '우'자가 붙은걸 여러 번 보셨을 겁니다.
저는 예전에 삼성전자를 처음 검색했을 때 '우'자가 붙은걸 보고 이건 뭐지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, 그래서 오늘은 보통주와 우선주의 의미와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. 보통주란
보통주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주식이라 부르는, 통상적인 주식을 말합니다.
보통주의 주주는 임원의 선임 및 기타 사항에 대해서 주식의 소유비율만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, 이익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.
회사가 단일 종류의 주식만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그 주식은 모두 보통주가 됩니다.
2. 우선주란
보통주보다 재산적 내용(이익, 이자배당, 잔여재산의 분배 등)에 있어서 우선적 지위가 인정되는 주식입니다.
이익을 배당할 때 우선주와 보통주가 섞여 있는 주식이라면 우선주를 가진 주주에게 먼저 배당이 됩니다. 하지만 우선주는 보통주와 다르게 의결권이 없습니다.
우선주는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, 배당금을 더 원하는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기에 발행됩니다.
우선주는 구형우선주와 신형우선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구형우선주는 1996년 상법 개정 전에 발행된 우선주로 종목명 뒤에 '우'자가 붙으며, 신형우선주는 상법 개정 후 발행된 우선주로 종목명 뒤에 '우B'가 붙습니다.
3.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
첫째. 보통주는 기업경영에 참여할 의결권이 있지만,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습니다.
둘째. 배당금을 우선주가 더 많이 받습니다. 또한 재산적 내용에 우선적 지위가 있기에 만약 기업이 망했을 때 재산분배도 우선주가 먼저 받게 됩니다.
셋째. 일반적으로 우선주의 가격이 보통주보다 낮게 형성됩니다. 가격이 낮으니 우선주를 산다면 같은 금액에 몇 주라도 더 살 수 있겠죠. 하지만 최근에는 우선주와 보통주의 가격 차이가 큰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.
사실 주식을 하는 이유가 매매차익 등 재테크를 위한 것이라면 의결권을 행사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.(개인적인 생각으로는..) 그래서 보통주보다는 우선주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,
보통주, 우선주 외 주식 용어가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(예수금, 증거금, 미수금)
주식 거래를 하다 보면 '증거금, 예수금, 미수금'이라는 단어를 본 적이 있으시죠. 그리고 출금을 하려 해도 바로 되지 않고 2일이 지난 후 되는 것을 겪어보셨을 거예요. 그래서 오늘은 예수금,
owlaunt.tistory.com
'경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2월 공모주 일정 및 종목별 청약정보 정리(추가) (1) | 2022.02.06 |
---|---|
2022년 2월 공모주 청약일정 및 종목별 정리 (0) | 2022.01.24 |
경제공부. 생산자물가지수 의미. (0) | 2022.01.20 |
LG에너지솔루션 청약결과(최종) 및 주가 전망 (0) | 2022.01.19 |
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(예수금, 증거금, 미수금) (0) | 2022.01.19 |
댓글